이것저것

이름짓기 규약 (Naming Convention)

blackbearwow 2025. 4. 24. 04:50

이름짓기 규약이 왜 있는가? 그냥 내 마음대로 이름을 지으면 되지 않는가? 그런 생각일 수도 있다.

혼자 만드는 토이프로젝트의 변수명이라면 내 마음대로 case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름짓기는 전 세계적으로 관례가 있다. 그리고 프로젝트를 같이 한다면 미리 규약을 정해놓아, 팀원이 모두 해당 규약을 따라야 한다.

1. 카멜 표기법 (Camel case)

camelCase

각 단어의 첫 문자는 대문자로 적되, 맨 앞 단어만 소문자로 적는 표기법이다.

 

- Java의 지역변수, 인스턴스 변수, 메소드

 

2. 파스칼 표기법 (Pascal case)

PascalCase

각 단어의 첫 문자를 대문자로 적는 표기법이다.

 

- Java의 Class 또는 Interface

- Python과 Ruby의 Class

 

3. 스네이크 표기법 (Snake case)

snake_case

모든 단어를 소문자로 적고 단어 사이에 _를 넣는 표기법이다.

 

- sql에서 tables, columns등. 

 

4. 케밥 표기법 (Kebab case)

kebab-case

snake case와 비슷하지만 구분자를 -로 사용한다.

 

- resiApi의 uri에서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Naming_convention_(programm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