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rted를 사용하면 오름차순으로 정렬해 준다.
reverse를 사용하면 오름차순으로 할지 내림차순으로 할지 정할 수 있다.
key는 어떤 것을 기준으로 정렬할지 정해주는 함수이다. 반환값이 튜플이나 리스트면 정렬 기준을 여러개로 할 수 있다. 인덱스 0번으로 정렬 후, 같은 우선순위에서 인덱스 1번을 기준으로 정렬하는 식이다.
answer = sorted(rateDict.keys(), key=lambda x: rateDict[x], reverse=True)
answer = sorted(strings, key=lambda x: (x[n], x))
answer = sorted(strings, key=lambda x: [x[n], x])
정렬 기준이 여러개일 때는 튜플이나 리스트로 지정하면 된다.
https://owwowo.tistory.com/137?category=1080209 와 https://owwowo.tistory.com/114?category=1080209 에서 유용하게 써먹는다.
참고:
https://dailyheumsi.tistory.com/67
파이썬 정렬, 다중 조건으로 한 번에 하기.
파이썬으로 문제를 풀다보면, 여러 조건으로 소팅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인 소팅은 다음과 같이 sorted() 혹은 .sort() 를 사용한다. a = [4,1,2,5,7,3,6] b = sorted(a) # b = [1,2,3,4,5,6,7] sorted()..
dailyheumsi.tistory.com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lenium v4.0 (python) (0) | 2023.04.10 |
---|---|
파이썬 리스트 인덱스 여러개 찾기 (0) | 2022.06.30 |
파이썬 공식문서 (내장함수 정의 보는법) (0) | 2022.05.15 |
가변 매개변수, 키워드 매개변수 (0) | 2022.05.15 |
requests, beautifulsoup4 모듈 (0) | 2022.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