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집 iptv가 나오지 않아 기사를 부르는 일이 있었다.
거실데스크탑, 공유기를 모뎀에 연결해 사용하고 있었고, 문제 없이 사용하다가 문제가 발생 한 것이다.
우리집 모뎀은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을 지원하지 않는 브리지 모뎀인 것이다.
브리지 모뎀의 out port에 랜선을 연결하면, 하나의 포트에 하나의 외부ip를 할당한다고 한다. 그러나 ip가 모자라 외부 ip를 할당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이 문제이다. ip를 2개 사용할 때는 문제없었는데, 1개만 할당해주니 거실데스크탑이 ip를 먹고 공유기가 ip를 할당받지 못하는 상황이 나온 것이다.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lg는 보통 1개의 외부 ip를 할당해준다고 한다.
nat모뎀이라면 첫번째 그림처럼 네트워크 인프라를 설정해도 되지만, 브리지 모뎀이라면 두번째 그림처럼 네트워크 인프라를 설정해야 한다.
nat은 network address translation으로 공인 ip를 사설 ip로 변환하거나 사설ip를 공인ip로 변환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보통 사용하는 공유기가 nat을 해주는것이다.
네트워크는 공인ip로만 통신한다. 사설 ip는 신경쓰지 않고 공유기 끼리만 통신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이걸 어떻게 사설 ip까지 전달해주는가? 공유기는 공유기마다 nat테이블을 가지고 있다. 사설 ip대역에서 기기가 공인ip로 패킷을 보내면 해당 포트를 기억해 nat테이블에 저장해두는 것이다. 그래서 해당 포트로 응답이 왔을 때, nat테이블에서 해당되는 사설ip로 패킷을 전송해준다.
nat테이블은 먼저 데이터를 보내면 등록되지만, nat테이블에 없는 포트에 패킷이 오면 해당 패킷은 버려진다. 이걸 해결해주는게 포트포워딩이다.
참고: https://m.blog.naver.com/kumdongil/221529835903
https://www.youtube.com/watch?v=s5kIGnaNFvM&t=1831s
'컴퓨터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네트워크란? (0) | 2024.03.21 |
---|---|
Classful 주소, Classless 주소 (0) | 2024.03.10 |
OSI 계층별 TCP/IP 프로토콜 포맷 (0) | 2024.02.07 |
OSI model (by layer) (0) | 2024.02.07 |
Unicast, Broadcast, Multicast (0) | 2022.06.13 |